본문 바로가기
동물

가장 단독개체가 큰 동물 대왕고래(대왕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rlaxodhks1229 2023. 6. 18.
728x90
반응형
한국어  대왕고래   영어   Blue whale


아름답다.

대왕고래는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경우제목 수염 고래과 대왕고래 속 대왕고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청고래, 흰 긴 수염고래, 흰 수염고래, 대왕고래 등으로 불린다.

대왕고래의 크기

몸길이 : 북반구 24~26m, 남반구 33m

몸무게 : 북반구 약 125t, 남반구 179t

무늬 : 붓으로 살짝 스친 것 같은 잔 무늬이다.

색깔 : 바닷 속에서 헤엄치고 있는 것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온몸이 청회색으로 보인다.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동물이다. 하지만 크기와는 별개로 길이가 가장 길었던 동물은 아니다. 현존하는 동물 중에서 1870년에 발견된 사자갈기해파리가 37m 정도로 대왕고래보다 더 길었고, 프라야 두비아라는 심해 해바리는 40~50m의 길이를 자랑한다. 1864년에 스코틀랜드에서 발견된 끈벌레 중에 55m를 기록한 개체도 있었다. 물론 이들의 체중은 대왕고래에 한참 못 미친다. 또한 지금은 멸종한 동물들까지 포함하면, 과거 쥐라기, 백악기에 살았던 초대형 용각류들은 대왕고래보다 몸길이가 비슷하거나 조금 더 길었었지만, 체중은 아무리 무거워도 대왕고래의 절반이나 3분의 1 정도 수준이었다. 암피코일리아스 프라길리무스나 브루하트카요사우루스 정도가 대왕고래에 근접할 무게를 가질 가능성이 있었지만, 연구가 진행되며 암피코일리아스 프라길리무스는 마라 아프니 사우루스로 재명명되고 몸무게도 70t가량으로 줄었으며, 브루하트카요사우루스도 체중 추정치에 논란이 있는 데다 해당 표본도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알려진 육지 동물 중 대왕고래보다 더 무거운 동물은 없다. 그나마 해양 동물 중에서 초대형 어룡 정도가 대왕고래와 체중이 비슷할 가능성이 있다. 영국의 릴스톡 웨스트버리 지층에서 샤스타사우루스과로 추정되는 어룡의 몸길이가 22~26m로 추정되기도 했고, 2021년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에서 21미터에 달하는 거대 어룡 화석이 발굴된 적도 있었기 때문이다.

 

대왕고래의 서식지와 이동

대왕고래(Blue whale)는 주로 바다에서 서식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온난한, 차가운, 극지방, 열대 지역을 포함한 거의 모든 해양 환경에서 발견될 수 있다. 대왕고래는 영양분이 풍부한 영양해(Upwelling zone)에서 주로 발견된다. 영양해는 차가운 해류가 올라오면서 바닷물 속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지역으로, 대왕고래의 주요 먹이인 작은 식물성 동물들이 다량으로 서식한다. 대왕고래는 계절적인 이동을 통해 서식지를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여름에는 낮은 위도 지역으로 이동하며, 겨울에는 높은 위도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동 패턴은 먹이의 유동성과 계절적인 온도 변화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대왕고래는 긴 잠수를 통해 수중에서 먹이를 사냥한다. 일반적으로 10분에서 20분 정도의 잠수를 하지만, 필요에 따라 30분 이상까지 잠수할 수도 있다. 먹이 사냥을 위해 수심 100m 이상으로 내려갈 수 있고, 최대로 기록된 잠수 깊이는 약 500m이다. 또한, 수영 속도는 약 30km/h 정도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대왕고래 중 일부는 여름에 극지방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먹이가 풍부한 극지방의 얼음 가장자리 근처에서 먹이를 사냥하며, 여름 동안 이곳에서 번식과 출산을 할 수 있다.

대왕고래, 흰수염고래

 

대왕고래의 식성과 먹이사냥

대왕고래는 주로 작은 식물성 동물인 크릴을 주요 먹이로 삼는다. 대왕고래의 주요 먹이인 크릴은 작은 새우와 같은 식물성 동물이다. 크릴은 대왕고래가 주로 사냥하는 대규모 유동성 먹이로, 바다에서 대량으로 서식하며 떠다니고 있다. 대왕고래는 크릴 떼를 향해 수영하며, 큰 입으로 크릴을 한 번에 많이 흡입한다. 대왕고래는 필터 피딩(filter-feeding) 방식을 사용하여 크릴을 사냥합니다. 크릴을 포함한 먹이들을 입으로 흡입하면서 바다물도 함께 흡입합니다. 그 후, 특수한 구조인 송파창(Pleated throat grooves)을 이용하여 물을 필터링하고 크릴을 걸러냅니다. 대왕고래는 매우 큰 양의 먹이를 섭취합니다. 하루 동안에 약 3~4톤의 크릴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하루 동안 약 40만 마리 이상의 크릴을 먹는 것과 같습니다. 대량의 섭취로 인해 크릴 떼의 크기와 구조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대왕고래는 크릴 떼를 찾기 위해 수영하면서 소리와 진동을 감지합니다. 그 후, 크릴 떼에게 나아가 사냥을 시작합니다. 대왕고래는 크릴 떼 아래로 다가가며 입을 크게 벌려 크릴을 흡입하고 걸러냅니다. 먹이 사냥을 위해 깊은 잠수를 하며, 수심 100m 이상으로 내려가기도 합니다.

 

대왕고래의 보호와 유지

대왕고래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종 중 하나로, 보호와 유지에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대왕고래는 국제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종으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위협종(Endangered)"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국제 조약과 협약(예: CITES, IWC)을 통해 상업 사냥을 금지하고, 서식지 보호와 인공장치에 의한 어업 위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대왕고래의 서식지와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해양 보호 구역이 지정되고 관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역은 대왕고래와 그들의 먹이 사슬을 보호하고, 어획과 다른 인간 활동의 영향을 제한함으로써 자연 서식지의 유지를 돕습니다. 대왕고래는 소음이나 충돌로 인해 위협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해양 환경에서의 선박 운행, 군사 훈련, 지질 탐사 등에 의한 소음은 대왕고래의 음향 통신과 사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선박과의 충돌은 심각한 상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와 국제단체는 규제와 지침을 개발하여 대왕고래와 다른 해양 생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대왕고래의 보호와 유지를 위해 환경 교육과 인식 활동이 중요합니다. 대중들에게 대왕고래의 중요성과 멸종 위험에 대해 알리고, 지속 가능한 어획과 바다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대왕고래와 그들의 서식지를 보호하고 보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대왕고래는 자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의 노력과 보호 조치에 의해 그들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속 가능한 어획 관행과 해양 보호 정책의 강화, 환경 교육의 강화 등을 통해 대왕고래의 생태계적인 복원과 종의 생존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대왕고래 사랑합시다!

그럼 이만.

728x90
반응형